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

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

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는 스마트농업관리사 혹은 스마트농업전문가라면 알아야 할 내용 중에 하나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내용을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

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
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

스마트팜(Smart Farm), 스마트농업(Smart Farming)은 현대 농업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하여 기존 농작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자 전세계 국가들이 관심을 가지고 진행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이는 기존의 농부들이 다양한 정보 기술 요소와 센서, 자동화 장치 등을 활용하여 농작업의 모니터링, 관리, 분석, 예측 등을 지능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농작물의 생산량과 품질을 개선하고 자원 사용을 최적화해야 하는 부분이지만, 기존 농업에 최신 IT 기술들이 들어오면서 스마트 농업 관리사 | 스마트 농업 전문가들이 농업 이외에 알아야 하는 부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부분들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서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 스마트팜피디아(SMARTFARMPEDIA)라는 책을 2021년도에 발간하였습니다.

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
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

이러한 부분들은 스마트팜학과 등에 관심을 갖고 있는 미래의 스마트 농업 관리사 | 스마트 농업 전문가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이 될 것입니다.

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 목차

스마트팜 혹은 스마트농업에 관련된 키워드와 그에 관련된 간단한 정의가 담긴 스마트팜피디아는 크게 시설원예, 스마트팜 시스템, 빅데이터, 기타 등의 4개의 목차로 나눠져 있으며, 각 목차 별로 시설원예는 시설환경, 재배, 생리장해 및 병해충, 수확 후 관리로 나눠져있고, 스마트팜시스템은 경영, 환경, 제어, 생육으로, 빅데이터는 수집, 저장, 분석, 활용등으로 나눠져있습니다. 이 모든 목차 안에는 약 959개의 키워드와 그에 따른 정의로 스마트팜피디아 책은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시설원예

  1. 시설환경
  2. 재배
  3. 생리장해 및 병해충
  4. 수확 후 관리

스마트팜 시스템

  1. 경영
  2. 환경
  3. 제어
  4. 생육

빅데이터

  1. 수집
  2. 저장
  3. 분석
  4. 활용

기타

 

스마트팜피디아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국가가 표준화하여, 교육훈련 ‧ 자격에 NCS를 활용하여 현장중심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는 크게 스마트팜 기술 개발, 스마트팜 계측, 과수재배, 시설원예의 4단계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스마트팜피디아에서 구분된 목차하고 다음과 같이 구분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
스마트팜 기술 개발 – 스마트팜 시스템
– 빅데이터
스마트팜 계측 – 스마트팜 시스템
– 빅데이터
과수재배 – 시설원예
시설원예 – 시설원예
스마트팜피디아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국가직무능력 표준에서의 스마트팜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버튼을 눌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스마트팜이란?

 

최신 기술들로 인해서 농업이 쉬워졌다고는 하지만, 보다 나은 스마트 농업 관리사 | 스마트 농업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공부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 스마트팜피디아 SMARTFARMPEDIA – 바로찾는 스마트팜 용어집 (발간등록번호 11-1543000-003389-01)

답글 남기기